딥러닝 공부 - 1
·
인공지능
*모든 내용은 "모두의 딥러닝 개정 2판"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장. 나의 첫 딥러닝 1. 딥러닝 환경 구성 - 아나콘다 설치하기(저는 Visual Code로 대체했습니다) - 텐서플로 설치하기(python 3.10 까지만 지원합니다) pip install tensorflow - 케라스 설치하기 pip install keras 2. 미지의 일을 예측하는 원리 학습: 기존의 데이터를 알고리즘에 입력 후 패턴 등을 분석 예측: 학습된 결과를 가지고 확률을 계산 3. 폐암 수술 환자의 생존율 예측해보기 # 딥러닝을 구동하는 데 필요한 케라스 함수 호출 from tensorflow.keras.models import Sequential from tensorflow.keras.layers import De..
[BOJ][C] 2869번 달팽이는 올라가고 싶다
·
카테고리 없음
안녕하세요. 오늘은 백준 2869번: 달팽이는 올라가고 싶다(링크) 문제를 풀어보려고 합니다. 문제 땅 위에 달팽이가 있다. 이 달팽이는 높이가 V미터인 나무 막대를 올라갈 것이다. 달팽이는 낮에 A미터 올라갈 수 있다. 하지만, 밤에 잠을 자는 동안 B미터 미끄러진다. 또, 정상에 올라간 후에는 미끄러지지 않는다. 달팽이가 나무 막대를 모두 올라가려면, 며칠이 걸리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세 정수 A, B, V가 공백으로 구분되어서 주어진다. (1 ≤ B < A ≤ V ≤ 1,000,000,000) 출력 첫째 줄에 달팽이가 나무 막대를 모두 올라가는데 며칠이 걸리는지 출력한다. 예제 입력 2 1 5 5 1 6 100 99 1000000000 예제 출력 4 2 999999901..
[BOJ][C] 1310번 그룹 단어 체커
·
PS/백준 문제
안녕하세요. 오늘은 백준 1310번: 그룹 단어 체커(링크) 문제를 풀어보려고 합니다. 문제 그룹 단어란 단어에 존재하는 모든 문자에 대해서, 각 문자가 연속해서 나타나는 경우만을 말한다. 예를 들면, ccazzzzbb는 c, a, z, b가 모두 연속해서 나타나고, kin도 k, i, n이 연속해서 나타나기 때문에 그룹 단어이지만, aabbbccb는 b가 떨어져서 나타나기 때문에 그룹 단어가 아니다. 단어 N개를 입력으로 받아 그룹 단어의 개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단어의 개수 N이 들어온다. N은 1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단어가 들어온다. 단어는 알파벳 소문자로만 되어있고 중복되지 않으며, 길이는 최대 100이다. 출력 첫째 줄에 그룹 ..
[BOJ][C] 1065번 한수
·
PS/백준 문제
안녕하세요. 오늘은 백준 1065번: 한수(링크) 문제를 풀어보려고 합니다. 문제 어떤 양의 정수 X의 각 자리가 등차수열을 이룬다면, 그 수를 한수라고 한다. 등차수열은 연속된 두 개의 수의 차이가 일정한 수열을 말한다. N이 주어졌을 때,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은 한수의 개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N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은 한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10 1 210 1000 500 예제 출력 99 1 105 144 119 제한 시간 제한: 2초 메모리 제한: 128MB 풀이 문제에서 숫자의 각 자릿수가 등차수열을 이루면 한수라고 정의를 해주었습니다. 따라서 숫자의 자..
[BOJ][C] 4673번 셀프 넘버
·
PS/백준 문제
안녕하세요. 오늘은 백준 4673번: 셀프넘버(링크) 문제를 풀어보려고 합니다. 문제 셀프 넘버는 1949년 인도 수학자 D.R. Kaprekar가 이름 붙였다. 양의 정수 n에 대해서 d(n)을 n과 n의 각 자리수를 더하는 함수라고 정의하자. 예를 들어, d(75) = 75+7+5 = 87이다. 양의 정수 n이 주어졌을 때, 이 수를 시작해서 n, d(n), d(d(n)), d(d(d(n))), ...과 같은 무한 수열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33으로 시작한다면 다음 수는 33 + 3 + 3 = 39이고, 그 다음 수는 39 + 3 + 9 = 51, 다음 수는 51 + 5 + 1 = 57이다. 이런식으로 다음과 같은 수열을 만들 수 있다. 33, 39, 51, 57, 69, 84, 96, 11..
[BOJ][C] 1110번 더하기 사이클
·
PS/백준 문제
안녕하세요. 오늘은 백준 1110번: 더하기 사이클(링크) 문제를 풀어보려고 합니다. 문제 0보다 크거나 같고, 99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가 주어질 때 다음과 같은 연산을 할 수 있다. 먼저 주어진 수가 10보다 작다면 앞에 0을 붙여 두 자리 수로 만들고, 각 자리의 숫자를 더한다. 그 다음, 주어진 수의 가장 오른쪽 자리 수와 앞에서 구한 합의 가장 오른쪽 자리 수를 이어 붙이면 새로운 수를 만들 수 있다. 다음 예를 보자. 26부터 시작한다. 2+6 = 8이다. 새로운 수는 68이다. 6+8 = 14이다. 새로운 수는 84이다. 8+4 = 12이다. 새로운 수는 42이다. 4+2 = 6이다. 새로운 수는 26이다. 위의 예는 4번만에 원래 수로 돌아올 수 있다. 따라서 26의 사이클의 길이는 4이다..